안녕하세요 다양성입니다.
2020년의 주요 테마로 5G, 반도체, 수소차 등이 꼽히고 있으며, 단기적 이슈로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관련 기업들이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이럴때일수록 실적이 좋고 앞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보아야 할 것 같아서 오늘은 5G 시험장비와 계측장비 관련주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이동통신에서 유무선 모두 장비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고, 이동통신사들은 5G의 품질과 안정성을 위해 더 많은 검사장비와 계측장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동통신 관련 장비업체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5G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020년을 시점으로 수요는 더 커질것이란 전망입니다.
그렇기에 핵심이 되는 5G 시험장비와 계측장비 관련기업 쏠리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쏠리드의 정보 및 연혁


쏠리드은 무선통신사업과 유선통신사업을 진행중이며 대부분이 통신망 관련 장비와 관련된 사업입니다. 쏠리드는 1998년 11월, 쏠리테크 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당시에는 자본금이 750,000,000원 뿐이었습니다.
2001년 정 준 대표는, 이달의 벤처기업인상을 수상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당해 11월에는 벤처기업 전국대회 산업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2003년에는 SK텔레콤의 네트웍부문 선정 Best Partner 상을 수상하였고, 2005년 7월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큰 기대를 받고 상장되었고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쏠리드가 엄청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19년 입니다. 5G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좋아졌고, 이로 인해 쏠리드는 미래가치를 인정받아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성장할 기업으로 보여집니다. 5G가 이제 시작인만큼, 쏠리드 역시 이제 시작이라는 단어가 어울립니다.
2. 통신분야 업계의 동향



무선통신산업은 2019년 5G 네트워크 상용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아직까지 가입자가 많지는 않지만 4G에서 5G로의 전환은 필연인만큼, 5G 시장의 성장세에 의심을 가지는 사람은 없습니다.
2019년 상반기부터 5G는 인구가 많은 지역부터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2022년에는 상용화가 완료될 것으로 보입니다.
5G의 상용화에 맞추어 국내 이동통신 3사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KT와 SKT, LGU+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잇으며, 이들은 미래시장 선점을 위해 엄청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해외시장은 인빌딩 기기를 중심으로 통신장비 투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무선 데이터 사용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인빌딩 투자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고, 선진국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습니다.
국내 투자의 방향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5G 중에서도 인빌딩 중계기가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보면 좋은 포스팅



3. 쏠리드 매출비중

쏠리드의 매출액을 보시면 꾸준한 증가세임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작년에 비해 더 큰 폭의 성장세를 보여줄 것으로 보이며, 이는 5G의 확대와 함께 성장하는 모습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5G 관련주



5G 관련주 쏠리드 / 아이티엠반도체 / 비에이치 / 케이엠더블유 / 오이솔루션 이노와이어리스 / RFHIC / LG유플러스 / SK텔레콤 / KT
|
5. 향후전망

5G는 시간이 지날수록 선택에서 필수로 바뀌게 됩니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5G를 요구하게 되고, 소비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무조건 오게되는 분야입니다.
이런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진화하는 기업이고, 해외 시장 진출에도 적극적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 큰 성장을 이루어내지 않을까 하는 기업입니다.


쏠리드에게 5G가 본격적으로 자리잡으려 하는 2020년은 매우 중요한 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5G 장비에 쏠리드, 케이엠더블유 등 우수한 기업이 많고, 이들과 함께 국내 이동통신망 발전에 큰 기여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건강하게 보내세요!!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주식, 코인 중 가장 수익이 높은것은? (0) | 2023.07.30 |
---|---|
무료채굴 코인어플 타임스토프 가입 및 등록방법 (1) | 2021.08.21 |
[국가법령센터] 산업안전보건법. 위험성평가에 관하여. (0) | 2020.07.10 |
[국가법령센터] 산업안전보건법. 도급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조치. 도급인과 수급인의 관계, 그리고 안전보건협의체. (0) | 2020.07.10 |
[Company Analysis] SK Biopharm. SK Biopharm analysis. SK Biopharm Samsung Biologics Comparison (0) | 2020.07.04 |
댓글